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파크골프장 규격

Golf 마니아 2025. 4. 23. 00:21

목차



     

    🏌️‍♂️ 파크골프장 규격

    공식 시설 기준 제8조 상세 정리

    파크골프장 규격

    파크골프를 즐기기 위한 파크골프장의 공식 규격과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8조 시설 기준에 따른 코스 구성, 면적, 난이도, 홀 구성 요소 및 편의 시설에 대한 정보를 정리했습니다.

    📐 파크골프장 코스 구성

    파크골프장의 기본 코스 구성은 9홀을 1개 단위로 하며,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 파 3홀: 4개
    • 파 4홀: 4개
    • 파 5홀: 1개

    1개 코스의 기준타수는 총 33타이며, 코스별 명칭은 다음과 같이 부여합니다:

    홀 수 기준타수 코스 명칭
    9홀 33타 A코스
    18홀 66타 A코스, B코스
    27홀 99타 A코스, B코스, C코스
    36홀 132타 A코스, B코스, C코스, D코스

    📍 파크골프장 적합 위치

    파크골프장은 다음과 같은 장소에 조성할 수 있습니다:

    1. 기존에 조성되어 있는 공원
    2. 하천부지
    3. 도시계획에 의하여 신설되는 공원 부지
    4. 스포츠공원으로 조성이 가능한 지역
    5. 리조트의 유휴지
    6. 접근성이 있는 야산주변 등

    🔍 면적 및 거리 규격

    최소 면적 기준

    경기자의 안전과 홀 배치를 고려하여 최소 면적은 기준단위인 1개 코스(9홀) 기준으로 8,250㎡(약 2,500평) 이상이며, 부대시설은 별도로 합니다.

    ⛳ 홀별 거리 규격

    • 파 3홀: 40~60m
    • 파 4홀: 60~100m
    • 파 5홀: 100~150m

    위 규정된 거리 이내에서 부지크기에 알맞도록 시설합니다.

    📏 총 거리 기준

    코스 구성 최소 거리 최대 거리 계산식
    9홀 500m 790m 최소: (4×40m)+(4×60m)+(1×100m)
    최대: (4×60m)+(4×100m)+(1×150m)
    18홀 1,000m 1,580m 9홀 기준의 2배
    36홀 2,000m 3,160m 18홀 기준의 2배

    ※ 홀별 거리 측정은 티잉그라운드 중앙에서 그린의 홀까지 하되, 구장 심사 시 홀의 장소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난이도 기준

    • 파크골프장의 난이도는 종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너무 높게 하거나 신체적으로 무리가 따르지 않도록 홀 형상을 조성해야 합니다.
    • 일반적으로 난이도를 제공하기 위한 해저드, 벙커, 경사도 등을 시설할 수 있습니다.
    • 페어웨이 및 그린의 경사도는 15도 이내의 경사를 권장합니다(벙커, 해저드는 예외).
    • 파 5홀에 인접한 다른 홀은 사고 예방을 위한 나무, 꽃군락, 안전망 등을 시설할 수 있습니다.
    • 페어웨이와 러프는 잔디의 길이로 확실하게 구분되도록 시설합니다.
    • 도그레그(dog leg) 홀인 경우에는 티잉 그라운드와 그린(깃대)과 휘어짐이 150도 내외로 유지하도록 하고, 적색 OB말뚝을 설치합니다.
    • 경기자의 안전을 위하여 교차하는 홀은 시설하지 않습니다.

    🛠️ 파크골프장 홀의 구성 요소

    홀 표지판

    해당 홀의 홀 번호, 기준타수, 거리를 표시하며, 티잉 그라운드 주변에 설치합니다.

    공 거치대

    경기자의 팀별로 홀 진입 순서를 정하는데 사용하는 도구로써 1번 홀에 설치합니다.

    순서뽑기

    티샷 순서를 정하는데 사용하는 도구로써 첫 번째 코스 1번 홀에 설치합니다.

    티잉 그라운드

    경기자가 홀마다 경기를 시작하는 출발 장소로써 규격은 사방 보조물을 제외하고 1.5m × 1.5m ~ 2.0m × 2.0m로 합니다.

    페어웨이

    티잉 그라운드와 그린 사이의 구역에 잔디를 설비하며, 잔디의 길이는 30mm로 유지하고 그 폭은 3m 이상이 되도록 시설합니다.

    러프

    티잉 그라운드와 그린 사이에 좌, 우측 페어웨이 바깥쪽으로 잔디의 길이를 50mm 이상 유지하여 페어웨이와 구분할 수 있도록 시설합니다.

    벙커 및 해저드

    난이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크기, 깊이 등은 해당 파크골프장 특성에 적합하도록 시설합니다. 단, 벙커는 1코스에 1개 이상 설치하도록 합니다.

    OB(Out of Bounds)

    경기할 수 없는 경계 표시지역이며 말뚝 또는 선을 설치하여 구분합니다. OB 말뚝은 백색 원형 막대로 길이는 40cm, 직경은 4cm로써 시야에 보이도록 설치합니다.

    그린

    홀컵이 있는 지역으로, 형상은 원형으로써 지름이 5m 이상의 크기가 필요하며, 15도 이내의 완만한 경사를 유지하여 퍼팅에 미묘한 변화를 제공하도록 합니다.

    홀컵

    그린의 적절한 장소에 설치하는데 1개 홀의 최종 목표지점으로써 원통형 스테인레스로 규격이 내경 200mm, 외경 210mm이며, 지표면에서 10mm 이하로 홀컵 상단이 매설되어야 합니다.

    깃대

    홀컵에 꽂아 두어 해당 홀의 최종 목표지점 위치를 알려주는데 페어웨이의 경사면을 고려하여 해당 홀의 티잉 그라운드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하며, 깃발에 홀 번호를 표시하여 그 높이는 2m 이상으로 합니다.

    특설 티

    워터해저드, 그린주변 등 경기할 수 없는 장소에 공이 위치한 경우 필요에 따라 근거리의 별도 지점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 편의 시설

    파크골프장에는 다음과 같은 편의 시설이 필요합니다:

    • 주차장(파크골프장의 크기에 따라 별도로 정함)
    • 클럽하우스(탈의실, 대기장소, 경기자의 물품 보관대, 대여용구 비치 등)
    • 남녀 화장실
    • 음수대
    • 휴식용 그늘막 및 대기 의자
    • 먼지털이기 4개 이상 구비
    • 보관 창고(깃대, 이동용 스프링클러, 호스, 잔디 깎는 기계 등)

    📋 요약 및 정리

    파크골프장 규격 핵심 포인트

    • 기본 단위: 9홀 (파3 4개, 파4 4개, 파5 1개)
    • 기준타수: 9홀 33타, 18홀 66타, 27홀 99타, 36홀 132타
    • 최소 면적: 9홀 기준 8,250㎡(약 2,500평) 이상
    • 홀별 거리: 파3(40~60m), 파4(60~100m), 파5(100~150m)
    • 코스 총 거리: 9홀 500~790m, 18홀 1,000~1,580m
    • 그린 규격: 지름 5m 이상, 경사도 15도 이내
    • 홀컵 규격: 내경 200mm, 외경 210mm
    • 잔디 길이: 그린(20mm 이내), 페어웨이(30mm), 러프(50mm 이상)

    ※ 이 글은 파크골프 제8조 시설 기준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최신 규정은 대한파크골프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2024년 1월 22일, 3월 11일 개정 내용이 반영되었습니다.